무연고

“당신도 시를 써가며 90이 되어 보라.
그러면 지금의 나를 알게 될 것이니.”
구순을 맞은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이생진
나이 90으로 가는 길목에서 쓴 일기와도 같은 시

  • 저자이생진
  • 출간일2018-11-20
  • 페이지124
  • 가격11,000원
  • 판형113*188mm
  • ISBN979-11-6026-713-6
  • 분야한국문학/시
책 소개

당신도 시를 써가며 90이 되어 보라.

그러면 지금의 나를 알게 될 것이니.”


우리나라 대표 시인 이생진의 서른여덟 번째 시집

나이 90으로 가는 길목에서 일기와도 같은

 

섬이 곧 삶인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섬 방랑 시인 이생진. 3,000여 개 우리나라 섬 가운데 1,000여 곳을 다녀왔을 정도로 시인은 평생을 바다와 섬으로 향했다. 그렇게 탄생한 시집이 서른일곱 편. “시는 짧아서 그때그때 기억을 감당할 수 있으니 시 쓰기는 노령에 좋다고 말하는 시인의 신작 시집 무연고는 서른여덟 번째 시집이다. “젊어서 섬으로 돌아다닌 탓에/팔과 얼굴이 검버섯 숲이다(()과 나에서)라며 여든아홉이던 2017, 나이 90으로 가는 길목에서 쓴 일기와도 같은 시를 엮었다.

90이 되어 인생 풀코스를 뛴 기분이라는 시인이 신문을 읽고 산책을 하고 세 끼 밥을 먹고 서점에 가고 시를 쓰는 일상이 마치 일기처럼 시 속에 녹아 있다. 다짐하듯 오늘의 치맛자락을 꼭 잡고 있어야 하겠다(오늘이 여기 있다에서)고 노래하는 시인의 오늘이, 지나간 인생이 그리고 내일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시의 맛을 알려면 적어도 80은 넘어 살아야 한다는 시인이 경험을 골라 진실한 언어로 쓴 시 여든한 편을 무연고에서 만날 수 있다. 사소하지만 편안하고, 따뜻한 정이 담겨 있는 그의 시는 세월을 거듭하며 보다 열정적인 소박미가 살아 숨 쉰다. 고독한 눈은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고,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들에 감동하며, 살아서 행복하고 살아서 고맙다는 것을 알 것 같다고 자신감 있게 말하는 이생진 시인. 그는 오늘도 밥 먹듯 시를 써가며, 제정신으로 걸어가고 있다.

 

 

 

나이 90이 되니 알 것 같다

살아서 행복하다는 것과

살아서 고맙다는 것을

그러고 보니 이제 철이 드나 보다

이런 결말에 결론 비슷한 말을 할 수 있는 자신감은

어디서 나왔을까

거기엔 조건이 있다

첫째 건강해야 한다는 것과

둘째 90이 되어도 제 밥그릇은 제 손으로 챙겨야 한다는 것과

셋째 밥 먹듯 시를 써가며 살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제정신으로 걸어가야 한다는 것

_머리말 중에서

저자 소개

  이생진李生珍 (1929)

서산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바다와 섬을 좋아했다. 해마다 몇 차례씩 섬으로 여행을 다니며 우리나라 섬의 정경과 섬사람들의 애환을 시에 담아내어 섬 시인’, ‘바다 시인으로 불린다. 1955년 첫 시집 산토끼를 펴내기 시작해 1969제단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이후 지금까지 시집 38, 시선집 3, 시화집 4, 산문집 2편 등을 펴냈다. 1978년에 펴낸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바다와 섬과 사랑을 노래한 국내 시의 백미(白眉)로 꼽히며 40년 넘게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1996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 문학상, 2002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尙火) 시인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주특별자치도 명예도민이 되었고, 2009년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시비공원이 만들어졌으며, 2012년 신안 명예군민이 되었다.

차례

   머리말 / 04

 

출생신고 / 11

힘의 전달 / 12

황금찬 선생님 / 13

100/ 15

노인들끼리 / 16

어느 토요일 밤 / 17

친구 / 18

살아 있다는 거 / 19

오늘이 여기 있다 / 20

/ 21

날씨가 좋다 / 22

보이스피싱 / 23

눈 오는 날 할머니는 / 25

자월도 바닷가 / 26

우선 / 27

요만큼만 / 29

하루 / 31

나팔꽃 씨 / 32

심한박 / 34

가다가 / 35

소설가 김진명 / 36

참새구이 / 37

즐거워라 / 38

아이 좋아라 / 39

시 쓰는 남자들끼리 / 41

()과 나 / 43

그 자리 / 45

늙는다는 거 / 47

명산 스님 / 49

설날 아침 무덤 앞에서 / 50

풍차 같은 풍자 / 52

신년 생활신조 / 53

책 세 권 샀다 / 54

독거노인의 빙판 / 56

하루 한 편의 시 / 57

My Way / 58

단편소설을 읽다가 / 60

책을 살 수 있다는 거 / 61

생자(生子) / 62

웃는 낯 / 64

말년 / 65

유혹 / 67

공부 / 68

보웬병 / 69

목욕탕에서 만난 갑장 / 71

혼자 살기 / 73

고별인사를 하듯 / 75

새벽 세 시 / 76

젊은 의사와 늙은 환자 / 78

내 삶[] / 79

작은 산을 넘으며 / 80

0105101**** / 81

사실무근 / 83

오늘이 / 84

서산에 해는 지고 / 86

날품팔이 / 87

아침 식사 / 88

봄 생각 / 90

흐린 날 같은 심정 / 92

실수 / 94

극도로 외로워졌을 때 / 95

알바 시인 초설 / 96

한갑수의 고슴도치 / 98

다비아와 디아나 / 99

()와 예() / 100

나가서 걸어야지 / 101

오수환 화백 / 103

방구석 / 104

슬픈 낙원 / 105

나의 서프라이즈 / 106

수석에 대한 죄 / 107

부부 이발소 / 108

까르페 디엠 / 109

남의 무덤 / 111

작은 무덤 큰 무덤 / 113

무연고 / 114

열 번째 시 / 115

마지막 일 년(一年) / 116

조금 남아 있는 햇살 / 117

2월은 짧다 / 118

철원 오대미 / 119

 

연보 / 120

출판사 서평

 당신도 시를 써가며 90이 되어 보라.

그러면 지금의 나를 알게 될 것이니.”

구순을 맞은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이생진

나이 90으로 가는 길목에서 쓴 일기와도 같은 시

 

섬이 곧 삶인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섬 방랑 시인 이생진. “바다와 섬과 사랑을 노래한 국내 시의 백미(白眉)로 꼽히는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40년 넘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지만, 이생진 시인의 작품은 성산포에만 그치지 않았다. 1929년에 태어나 1955년 자필 수제본 시집 산토끼를 시작으로 1969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첫 시집을 출간한 지 벌써 6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활발히 시작(詩作)을 이어가고 있다. 3,000여 개 우리나라 섬 가운데 1,000여 곳을 다녀왔을 정도로 시인은 평생을 바다와 섬으로 향했다. 그렇게 탄생한 시집이 서른일곱 편. “시는 짧아서 그때그때 기억을 감당할 수 있으니 시 쓰기는 노령에 좋다고 말하는 시인의 신작 시집 무연고는 서른여덟 번째 시집이다. “젊어서 섬으로 돌아다닌 탓에/팔과 얼굴이 검버섯 숲이다(()과 나에서)라며 여든아홉이던 2017, 나이 90으로 가는 길목에서 쓴 일기와도 같은 시를 엮었다.

 

하늘은 맑고

구름은 가볍고

바위는 무겁고

소나무는 푸르고

나는 늙었지만 심장은 따뜻해서

아직도 내게 안기는 시가 따뜻하다

_가다가에서

 

90이 되어 인생 풀코스를 뛴 기분이라는 시인이 신문을 읽고 산책을 하고 세 끼 밥을 먹고 서점에 가고 시를 쓰는 일상이 마치 일기처럼 시 속에 녹아 있다. 다짐하듯 오늘의 치맛자락을 꼭 잡고 있어야 하겠다(오늘이 여기 있다에서)고 노래하는 시인의 오늘이, 지나간 인생이 그리고 내일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시의 맛을 알려면 적어도 80은 넘어 살아야 한다는 시인이 경험을 골라 진실한 언어로 쓴 시 여든한 편을 무연고에서 만날 수 있다.

 

 

이생진 시인의 서른여덟 번째 시집

살아서 행복하고 살아서 고맙다

 

한하운 시인의 아픔과 김현승 시인의 고독과 박목월 시인의 운율과 조병화 시인의 낭만과 김삿갓 김병연의 방랑과 화가 고흐의 열정을 좋아하는 이생진 시인의 시는 어렵지 않다. 쉽게 읽힌다. 현학적이지도, 기교를 부리지도 않는다. 평범한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독자들이 시를 통해 잠시나마 행복하기를 바라며 요즘 쓰는 말로, 지금의 언어를 골라 쓴다. 고상하게 쓰려 하지도 않으며, 누구보다 진실한 시를 쓰는 시인. 시인은 혼자 사는 어머니(2001) 서문에서 나는 지금도 시를 쉽게 쓴다. 한글밖에 못 읽는 어머니의 수준으로 쓴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좀 어렵게 쓰인 것도 있지만 그것은 어머니를 잊고 쓴 것 같아 어머니에게 미안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수없이 넘고 넘었던 그 산을/이제 넘지 못하고 고별인사를 하듯 손을 흔든다/올봄에 내 눈으로 저 산을 볼 수 있을까/하자/산이 돌아서며 눈물을 흘린다(가다가에서) 하다가도 오늘 만난 사람이 고맙고/오늘 살아 있는 내가 고맙고/오늘 자는 잠이 고맙(까르페 디엠에서)다고 이야기한다. 사소하지만 편안하고, 따뜻한 정이 담겨 있는 그의 시는 세월을 거듭하며 보다 열정적인 소박미가 살아 숨 쉰다. 고독한 눈은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고,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들에 감동하며, 살아서 행복하고 살아서 고맙다는 것을 알 것 같다고 자신감 있게 말하는 이생진 시인. 그는 오늘도 밥 먹듯 시를 써가며, 제정신으로 걸어가고 있다.

 

나이 90이 되니 알 것 같다

살아서 행복하다는 것과

살아서 고맙다는 것을

그러고 보니 이제 철이 드나 보다

이런 결말에 결론 비슷한 말을 할 수 있는 자신감은

어디서 나왔을까

거기엔 조건이 있다

첫째 건강해야 한다는 것과

둘째 90이 되어도 제 밥그릇은 제 손으로 챙겨야 한다는 것과

셋째 밥 먹듯 시를 써가며 살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제정신으로 걸어가야 한다는 것

_머리말 중에서

관련도서해당 저자의 관련도서 입니다.